이슈를 통해 가치를 전달합니다
우리는 스마트 시대에 맞춰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는 다양한 이슈를 통해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PHA는 자동차 부품의 대량생산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사출공정라인에 고정식 협동로봇을 도입하여 빠른 생산이 가능한 자동화 공정 환경을 구축해 놓은 상태였다. 하지만 고정식으로 사용되는 협동로봇에도 한계가 있었다. 제품 생산 이후 이송 및 적재, 재고 파악 등 크고 작은 문제가 발행하고 있었다. 특히, 생산된 제품이 작업자를 통해 이송 되거나 지게차로 운반되었는데 재고 및 수량을 파악하는 정보 수단인 바코드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부착·스캔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2022. 06. 15
늘어나는 물동량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기업 생존을 좌우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효율적인 물류창고(센터) 운영을 통한 보관의 중요성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 물류창고(센터)의 공급보다 수요가 많아 사용할 수 있는 물류창고(센터)의 공간을 찾기 어려워지면서 기존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려는 시도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번에 소개할 사례는 스마트한 물류창고(센터) 관리로 효율을 높인 ‘유도(YUDO)’이다…
2022. 05. 16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비대면 활동이 급성장하면서 물동량 또한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추이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물동량에 대응하기 위해서 AGV를 통한 자동화 시스템에 대해 고려하는 기업들이 늘어가고 있다. 앞서 증가하는 물동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스마트 물류에 적합한 Shelf Lifter AGV를 활용해 로봇자동화에 성공한 사례를 소개했다. 이번에도 Shelf Lifter AGV를 활용하여 물류자동화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실현한…
2022. 03. 02
CJ대한통운은 전국에 203개의 물류센터를 갖추고 식품부터 유통, 패션, 헬스케어, 화장품, 반려동물용품 등 국내계약물류시장의 산업군별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는 국내 대표적인 물류기업이다. 다양한 화주사를 대상으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CJ대한통운의 물류연구소는 3PL 및 풀필먼트 이용 고객사의 물류 특성에 따라 정확성·효율성·유연성을 테스트해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시스템의 적합성을 검토하고자 했다. 해당 시스템이 어떤 물성에서 어떻게 활용되었을 때 가장 효과를 볼 수…
2022. 02. 14
2011년 창업한 딜리셔스는 동대문 의류시장이 가지고 있었던 오프라인 체제를 온라인으로 전환하는데 역할을 해온 기업이다. 딜리셔스는 2013년 신상마켓 서비스를 오픈하고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했다. 신상마켓은 동대문 의류시장의 도매업자와 전국의 의류 소매상을 연결하는 서비스이다. 주문부터 사입, 배송까지 모든 서비스를 온라인을 통해 처리 할 수 있어 소매 업체는 온라인으로 주문하고 도매업자는 별도의 노력 없이 신규 거래처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시장의…
2022. 01. 03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독특한 상품들을 보편화하고 싶다는 바람으로 시작한 텐바이텐(10X10)은 이러한 바람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아이템들을 취급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이 성장하면서 이는 실제 물류 운영에 있어서 허들이 되고 있었다. 다양한 제품과 방대한 SKU로 인한 보관 공간 부족과 휴먼 에러를 비롯해 주문처리 속도에 대한 문제들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또 늘어나는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한 인력을 구하는데도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고객의 소비 심리나 패턴에…
2021. 12. 01